728x90
반응형
mount : 마운트
- 하드디스크 마운트
mount [-fnrvw] [ -t 파일시스템 종류] [-o 옵션] 장치 디렉토리 |
|
옵션 |
설명 |
-v |
자세한 내용을 출력 |
-f |
실제로 마운트를 하지 않고 마운트를 할 수 있는지 점검 |
-n |
/etc/mtab 파일에 쓰기 작업을 하지 않고 마운트 |
-r |
읽기만 가능하게 마운트한다 -o ro 와 같다 |
-w |
읽기/ 쓰기 모드로 마운트. 기본설정값 . -o rw |
-t |
파일시스템 종류에는 ext3, iso9660등 파일시스템 종류를 적어준다. 만약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파일시스템의 슈퍼블록을 조사하여 자동으로 파일시스템이 선택 |
-o 옵션 |
이곳에는 마운트 옵션들을 적어준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defaults가 선택 |
defaults |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의 옵션이 선택 |
async |
파일시스템에 대한 입출력이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짐 |
auto |
-a 옵션으로 마운트 가능 |
dev |
파일시스템의 문자, 블럭 특사장치를 해석 |
exec |
바이너리 실행을 허가 |
noauto |
-a옵션으로는 마운트 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만 마운트 가능 |
noexec |
바이너리의 실행을 허가하지 않음 |
nosuid |
set-UID, set-GID를 무시 |
nouser |
일반 사용자가 마운트할 수 없음 |
remount |
이미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을 다시 마운트 |
ro |
읽기 전용 |
rw |
읽기 쓰기 |
suid |
set-UID, set-GID를 사용 |
sync |
파일시스템에 대한 입출력을 동기화. |
user |
일반 사용자가 마운트 가능 |
반응형
'와사비크래커 IT Tip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f : 하드디스크 정보 (0) | 2017.11.19 |
---|---|
umount : 마운트 해제 (0) | 2017.11.19 |
yum : rpm설치(인터넷) (0) | 2017.11.19 |
rpm : 패키지 관리 (0) | 2017.11.19 |
tar : 압축 (0) | 2017.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