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 와사비크래커 IT Tip/DB 2020. 8. 21. [DB] Data Model 1 Data Model 1.1 데이터 모델의 정의 -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타입을 정의하고 데이터들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며 데이터 의미와 데이터에 가해진 제약 조건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적인 도구이다. 1.2 데이터 모델링 과정 1.2.1 요구분석 단계 -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할 업무와 관련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사항과 요구 조건을 수집 분석하는 단계이다. - 최종적으로 요구사항 명세서를 얻어내는 단계이다. 1.2.2 개념적 설계 단계 - 요구사항 명세서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 표현될 데이터, 그들간의 관계, 데이터의 의미, 데이터의 제약조건 등을 추상화하는 단계이다. - 개념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이다. 1.2.3 논리적 설계 단계 - 개념 스키마를 변형하여 컴퓨터 처리.. 와사비크래커 IT Tip/DB 2020. 8. 20. [DB]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1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1.1 DBMS의 개요 - 사용자 또는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가 원활하게 데이터를 공유하고 입∙출력할 수 있도록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 몇 개의 자료 파일을 조직적으로 통합하여 자료 항목의 중복을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기억시켜 놓은 자료의 집합체이다. - 공동 자료로서 각 사용자는 같은 데이터라 할지라도 각자의 목적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1.2 DBMS의 언어 선택 - 데이터 정의 언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Create, Alter, Drop 등 s 데이터의 구조나 처리방식 등을 정의하고 생성하기 위한 언어이다. s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1]).. 와사비크래커 IT Tip/DB 2020. 8. 20. [DB] DBS (Database System) 1 DBS (Database System) -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다양한 목적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이다. 1.1 데이터베이스(Database) 1.1.1 데이터(Data)와 정보 - 데이터는 사실을 나타내는 수치라면, 정보란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가공된 데이터들의 집합이다. 1.1.2 정의 - 조직 내에서 여러 응용시스템과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중복을 배제하고 통합된 환경으로 저장한 데이터의 집합이다. 1.1.3 특징 - 실시간 접근성 (Real-time Accessibility) s 사용자나 프로그램의 데이터 요구에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응답한다. -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