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 와사비크래커 IT Tip/네트워크 2020. 9. 2. [네트워크]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같은 네트워크 대역(정확히는 LAN 구간)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 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 짧게는 논리적인 주소(IP)를 이용해 물리적인 주소(MAC)를 알아오는 프로토콜 Hardware type(HTYPE) : 네트워크 유형을 뜻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thernet 환경은 0x0001 으로 세팅 Protocol type(PTYPE) : 프로토콜을 정의합니다. IPv4의 경우 0x0800 으로 셋팅되며, 아직 IPv6는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보통 0x0800 으로 세팅 Hardware Address Length :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 길이를 정의하며 Ethernet 환경의 경우 6b.. 와사비크래커 IT Tip/보안 2020. 8. 19. [보안] 전송 레벨 보안: SSL, TLS 1 전송 레벨 보안: SSL, TLS 1.1 SSL (Secure Sockets Layer) 1.1.1 SSL 구조 - SSL은 신뢰할 수 있는 종단-대-종단의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TCP를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 SSL은 하나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닌, 두 계층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다. - SSL 레코드 프로토콜은 다양한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기본적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 웹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교환을 위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HTTP는 SSL위에서 작동할 수 있다. - SSL 연결(Connection) s 연결이란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을 말한다. s SSL에 있어서 연결은 대등-대-대등 관계이다. s 연결은 일시적이며 모든 연결은 한 개의 세션과 연관된다... 이전 1 다음